- Overview
-
아기의 첫 번째 생일에 건강과 행복을 비는 한국의 돌잔치 풍습을 소개한다.
- Book Intro
-
돌은 아기가 태어난 지 한 해가 되는 날을 가리키는 말로, 첫 생일날 아기의 건강과 행복을 비는 돌잔치는 한국의 오랜 풍습입니다. 의학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거에는 아기들이 한 해를 무사히 살아내는 것조차 쉽지 않았기에 첫돌은 특별한 날이었지요. 이 그림책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고유한 한국 문화인 돌잔치를 흥겹게 그립니다.
옛날, 자식이 없는 어느 젊은 부부가 아기를 점지해 주는 삼신할머니에게 아이 하나 낳게 해 주십사 날마다 간절히 기도합니다. 삼신할머니는 아이가 태어나도 병을 퍼뜨리는 잡귀가 붙어 금세 죽을 거라며 소원을 쉽게 들어주지 않지요. 그러나 부부의 오랜 정성에 감복해 마침내 삼신할머니가 사내아이를 하나 점지해 줍니다. 그러면서 아기를 지킬 수 있도록 잡귀를 물리칠 방법을 알려 주지요. 부부는 삼신할머니 말을 꼭 따르겠다고 약속합니다. 아기이 태어나자, 아니나 다를까 사람을 몹시 앓게 만든다는 잡귀인 저퀴가 나타나 호시탐탐 아기를 노립니다. 하지만 대문 앞에 걸린 금줄과 잡귀를 쫓는 힘을 가진 붉은 수수팥떡을 보고는 화들짝 놀라 줄행랑을 치지요. 아기는 무럭무럭 잘 자라 드디어 첫돌을 맞습니다. 첫돌을 축하하는 돌잔치가 열리고 손님들로 잔치 마당이 북적이자 그 틈을 타 또다시 저퀴가 어슬렁댑니다. 아기의 장래를 점치는 돌잡이가 시작되고 실타래와 활, 책 따위가 아기 앞에 놓입니다. 저퀴가 손님들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아기를 향해 돌진하는 순간, 아기는 실타래를 잡아 자기의 운명을 결정합니다. 건강과 장수를 의미하는 실타래를 잡은 아기를 저퀴도 더 이상 어쩌지 못하고 멀리 달아나고 말지요.
요즘도 많은 아기들이 돌잔치를 치릅니다. 돌은 이름만 남은 전통이 아니라 지금도 한국인의 일상 속에서 만날 수 있는 생활 문화입니다. 흥겨운 돌잔치 풍경을 그린 이 그림책은 첫돌이 갖는 의미와 가족 사랑을 일깨웁니다.
- About the Author
-
선자은
1981년 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팬더가 우는 밤』으로 제1회 살림 청소년 문학상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청소년 소설 『계약자』『빨간 지붕의 나나』『엘리스 월드』『제2우주』 『엄마의 레시피』『소녀 귀신 탐정』, 동화 『위험한 게임 마니또』『게임왕』『예쁜 얼굴 팝니다』 『화장실 귀』『그날의 기억』『이웃집 살인범』『시간의 달력』 등을 펴냈습니다.
최현묵
서울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시각 디자인을 공부했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에서 그림책을 공부한 뒤 어린이 책에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림책 모임 ‘미루나무’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그림을 그린 책으로는 『조선 비밀 마구간』 『별을 사랑한 시인 윤동주』 『나무 도령 밤손이』 『국경일은 어떤 날일까요?』 등이 있습니다.